2023년 9월 27일 금요일 (임산부 침 치료, 안전할까? 네 안전합니다.)
2018년에 개원한 이래로 임산부가 환자로 내원하신 경우가 가끔 있었습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기억에는 소화불량, 허리 통증, 어깨 통증과 같은 증상들이 주소증이었던 것 같습니다. 침 치료가 실제로 그리 위험하거나 태아에 영향을 주지는 않더라도 만약 어떤 문제가 생기면 괜한 오해를 사고 책임을 져야할 여지가 있어서 치료가 어려움을 정중히 설명 드렸었습니다. 태아 건강에 한창 예민할 수 있는 시기이니 더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었습니다.
[..더 보기..] 2023년 9월 25일 월요일 (수족구병, 성인에게도 올까요?)
수족구병, 말 그대로 손과 발, 입에 나타나는 병이라는 뜻으로 영어로도 Hand-Foot-Mouth Disease입니다. 영어 병명이 그대로 직역되었다고 합니다. 주로 10세 이하 영유아에게서 발병하며, 원인은 콕사키 바이러스 A16, 엔테로 바이러스 71 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손과 발, 입 점막에 오돌토돌하면서 붉게 올라오는 수포성 발진과 통증을 주 증상으로 합니다. 엉덩이와 서혜부에도 발진이 생길 수 있지만 손, 발처럼 수포성으로 올라오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습니다.
[..더 보기..] 2023년 9월 24일 일요일 (두뇌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에 대해)
오래 전부터 품어왔던 생각 혹은 궁금증 중 하나는 평상시 두뇌 활동량과 당뇨, 인슐린 저항성 사이 관계에 대한 연구가 있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인체에서 가장 많은 칼로리를 소비하는 기관이 뇌이기 때문에 매일 뇌를 혹사시킬 만큼 많이 사용하는 사람과 별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 사이 인슐린 저항성 혹은 당뇨 발병률의 차이가 있지 않을까하는 가설을 세웠던 것이죠. 두뇌의 활용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기 때문에 실험 설계도 어려울 것이고, 연구를 위한 비용도 꽤나 많이 필요하겠다는 한계점에 대한 생각도 들었습니다.
[..더 보기..] 2023년 9월 23일 토요일 (교통사고 후유증, 얼마나 오래 갈까요?)
교통사고를 직접 경험해본 적은 없지만, 진료실에서 교통사고 후유증 환자들을 다양하게 진료하면서 사고로 인한 후유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운전 중에 앞, 뒤, 옆에서 추돌을 당하는 사고로 오셨을 때 환자분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시는 증상은 목 통증과 허리 통증입니다. 충돌 당시 자동차의 충격에 의해 앞뒤로 진동하면서 척추 위아래로 충격이 진동하듯 전달되며 연조직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 모습이 마치 채찍질의 모습과 비슷하다하여 편타성 손상(whiplash injury)이라고 합니다.
[..더 보기..] 2023년 9월 22일 금요일 (땀 많은 체질 개선)
땀이 너무 많이 나서 고민인 환자분들이 꽤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젊은 분들 중에서도 다한증 치료를 위해 한약 복용을 원하신다며 내원하셨던 경우가 꽤 있었습니다. 땀이 나는 부위도 시간도 매우 다양했죠. 쉽게 치료가 되었던 적도 있었던 반면, 치료의 의미가 없겠다 싶어서 종료하거나 치료를 진행하지 않았던 적도 있습니다.
[..더 보기..] 2023년 9월 19일 화요일 (인슐린저항성(IR)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고혈압이 생기는 원인으로 IR(인슐린 저항성)에 집중하여 분석한 리뷰 논문이 있어서 훑어보는 것보다는 조금 더 자세히 읽어봤습니다. 제목은 『Insulin Resistance and Hypertension: Mechanisms Involved and Modifying Factors for Effective Glucose Control(저자 : Hussein F. Sakr 외 다수)』이며, 2023년 국제학술지 biomedicines에 게재되었습니다.
[..더 보기..] 2023년 9월 18일 월요일 (한약. 간에 좋은 한약.)
네이버에서 한약과 간을 검색했을 때 가장 처음 나오는 지식백과 글에서 오랫동안 한약을 복용할 경우 간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어 네이버를 통해 수정 요구를 했으나 거절당하여 결국 국민신문고를 통한 민원접수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신장을 고치는 한약, 간을 고치는 한약, 체중감량을 위한 한약, 감기 치료를 위한 한약 등 한약도 종류가 다양하고 쓰임새와 목적이 다른데, 마치 모든 한약이 간에 해로운 것처럼 기술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기 때문입니다. 지식백과의 내용이 이럴진대, 일반인들이 한약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 것도 같습니다.[..더 보기..] 2023년 9월 18일 월요일 (갱년기 증상 완화에 역할을 하는 Isoflavones)
어제 갱년기에 호르몬 변화를 완충시키는 Isoflavones와 Isoflavones가 많이 들어가 있는 콩에 대해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여성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남성 호르몬의 비중이 증가하는 갱년기, 갱년기 이후에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 수용체에 작용하는 Isoflavones가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죠.
[..더 보기..]